DAO(Decentralized Autonomous Organization)는 중앙화된 권위 없이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여 운영되는 자율 분산형 조직입니다. 본 규약은 DAO 조직의 투명한 운영과 구성원의 권리 및 의무를 명확히 하기 위해 작성되었습니다.
2. 구성원 자격 및 권리
모든 구성원은 거버넌스 토큰을 보유함으로써 자격을 얻습니다. 구성원은 의사결정 참여, 제안서 제출, 투표 등의 권리를 가집니다. 토큰 보유량에 따라 투표 가중치가 달라질 수 있으며, 특정 기간 동안 활동이 없는 구성원은 일시적으로 투표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3. 의사결정 프로세스
제안서는 최소 5%의 토큰 보유자의 지지를 받아야 공식 안건으로 상정됩니다. 투표 기간은 일반적으로 7일이며, 제안의 중요도에 따라 조정될 수 있습니다. 일반 제안은 과반수 찬성으로 통과되나, 재정 지출이나 규약 변경과 같은 중대 사안은 2/3 이상의 찬성이 필요합니다.
4. 재정 관리
DAO의 자금은 멀티시그 지갑으로 관리되며, 자금 사용은 투표를 통해 결정됩니다. 모든 거래는 블록체인에 기록되어 투명하게 관리되고, 분기별로 재정 보고서가 작성되어 구성원들에게 공개됩니다. 일정 금액 이상의 지출은 특별 감사를 받을 수 있습니다.
5. 워킹 그룹 운영
특정 프로젝트나 업무를 위해 워킹 그룹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 각 그룹은 명확한 목표, 예산, 일정을 제시해야 하며, 정기적으로 진행 상황을 보고해야 합니다. 그룹 내 의사결정은 자율적으로 이루어지나, 주요 변경사항은 전체 DAO의 승인이 필요합니다.
6. 보상 체계
기여자에 대한 보상은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지급됩니다. 보상은 토큰, 명성 점수, 또는 기타 혜택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습니다. 보상 제안은 투명하게 공개되며, 구성원들의 투표를 통해 결정됩니다. 성과 평가는 객관적 지표를 기반으로 합니다.
7. 분쟁 해결 메커니즘
구성원 간 또는 DAO 내 분쟁 발생 시, 먼저 중재자를 통한 해결을 시도합니다. 중재가 실패할 경우, 투표를 통해 결정됩니다. 심각한 위반 행위에 대해서는 구성원 자격 정지나 제명과 같은 제재가 가능하며, 이는 최소 2/3 이상의 찬성으로 결정됩니다.
8. 투명성 및 소통
모든 의사결정, 재정 활동, 회의 내용은 공개 채널에 기록됩니다. 최소 월 1회 전체 커뮤니티 미팅을 개최하며, 이 자리에서 진행 상황과 앞으로의 계획을 공유합니다. 모든 구성원은 DAO의 활동에 대한 정보에 동등하게 접근할 권리가 있습니다.
9. 규약 개정 절차
본 규약의 개정은 최소 10%의 토큰 보유자가 제안할 수 있으며, 전체 투표권의 2/3 이상의 찬성으로 이루어집니다. 개정 논의 기간은 최소 14일이 주어지며, 모든 구성원이 충분히 검토하고 의견을 제시할 수 있도록 합니다.
10. 비상 대응 체계
해킹, 자금 손실 등 긴급 상황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을 위한 비상 위원회가 구성됩니다. 위원회는 임시 조치를 취할 권한이 있으나, 조치 후 24시간 내에 전체 구성원에게 보고하고 사후 승인을 받아야 합니다. 모든 비상 대응은 블록체인에 기록되어 추후 검토가 가능합니다.
#DAO #블록체인거버넌스 #탈중앙화조직 #스마트컨트랙트 #토큰이코노미 #분산자치 #온체인거버넌스 #투명성 #커뮤니티운영 #웹3